사우디아라비아와 UAE의 지역 허브 경쟁과 한국 기업의 기회(사우디 진출 기업을 위한 ‘찾아가는 법률 지원’)_사우디아라비아노동법제와지식재산권법제소개및우리기업이유의해야할사항, 김현종 변호사(법무법인 知音 (Kim & Kim)), 2024. 11. 28.
- Bonne Clef
- 3월 6일
- 1분 분량
【목차_Summary】
사우디아라비아는 모하메드 빈살만 집권 이후 매우 빠른 속도로 사회가 변화하고 있고, 특히 여성의 사회적지위, 정부 시스템, 법령의 변화는 과거 100년 동안의 변화를 뛰어넘는 놀라운 변화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사회의 개혁, 개방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한 국가 지도자의 간절한 열망이다. MBS를 비롯 한국지도자들은 사우디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고군 분투하고 있다. 최근 사우디의 변화를 반가운 마음으로 안내하고자 한다.
여성의 사회 활동 증가
정부 및 사회 시스템의 개혁
공개 정보 및 서면화된 자료의 증가
법령의 정비
사법 시스템과 재판 시스템의 변화
(법률) 서비스의 가격의 변화
2023 사우디 투자 가이드 발간 with KOTRA
아랍에미리트는 이스라엘과의 수교를 통한 유대인 자본의 유입, 우크라이나 및 팔레스타인 전쟁 이슈, 골든비자 제도의 도입을 통한 인도와 주변국 부호들의 투자 유인, 주말 제도의 변경으로 인한 사업 환경의 개선, 상법 및 상업대리인법 개정을 통한 자국민 보호정책의 완화, 노동법 전면 개정을 통한 고용환경의 개선, 부가가치세 도입에 이은 법인세 전격 시행을 포함한 세법 개정을 통한 투명성 개선 등 다양한 유인책을 내 놓았고, 앞으로도 전격적이고 혁신적인 정책을 내 놓을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음UAE 사법운영체계의 변화
1.UAE 에이전트 제도변경
2.UAE 회사법 개정 과 외국인투자 정책의 변화
3.근로관계법 및 비자제도 변화에 따르는 사업환경 변화
4.통상 및 세무 환경의 변화와 지역 정세
양국의 경쟁으로 중동지역의 사업 투명성이 제고되고 있고, 사업 환경이 개선되고 있으며, 한국기업의 현지 진출에 큰 도움이 되고 있음
•사우디지역본부(RHQ) 의무 규정 –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
•(초중고등학교) 교육 기반, 주류 허용 여부, 카지노, 주변국 리스크의 풍선효과
댓글